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15:53
본문
Download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hwp
또한 합리적인 유교가 갖지 못한, 석가의 신비적이고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유교에 대한 종교로서의 우위성을 나타내었고, 효 등의 윤리적 주제를 드러낸 내용을 가미시켜 유학자들의 비판을 무마하려 하였던 것이다.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은 그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으며, 요약과 압축, To be continued 과 문맥의 순서 바꿈 등을 통하여 시가적 속성 을 살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러 불경, 특히 ‘석가보’가 influence(영향)을 주어 간행된 석보상절이 월인천강지곡의 저본이 됨으로써, 3차 텍스트성을 가진다고도 한다. 그 대응책의 일환으로써 월인천강지곡은 석가의 일대기를 새로이 조성하고 노래하여 불교의 교리를 쉽게 이해하여 전해지도록 하였다.
설명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월인천강지곡의 형성배경,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와의 비교, 형식적, 내용구조적, 표기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그러나 공덕, 호국적 성격의 불경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데 비해, ’석보‘와 이에 대한 노래까지 지어진 것은 보기 드문 경우였다.月印千江之曲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인문사회레포트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
Download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hwp( 70 )
月印千江之曲
월인천강지곡의 형성배경,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와의 비교, 형식적, 내용구조적, 표기적 특징에 관련되어 살펴봤습니다. 이러한 월인천강지곡은 다시 약간의 첨가를 거…(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다. 따라서, 월인천강지곡이 간행된 데에는 여러 이면적 이유가 있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2) 내면적 이유- 숭유억불의 사회적 상황
‘석보상절’이나‘월인천강지곡’은 당대 유학자들의 불교 배척 주장에 맞서 , 불교를 올바로 알리기 위한 의도로 제작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당시 시대적 상황에서 유교와 유학자들은 불교를, 삼강오륜을 무시하고 천당지옥, 생사화복설이 허황되다 등의 이유를 들어 비판했다.
2. 텍스트 간 비교
월인천강지곡은 ‘석보상절의 시가화’로 여겨지기도 한다.
Ⅰ. 서론
Ⅱ. 본론
1. 형성배경
1) 표면적 이유- 소헌왕후를 추모하는 기복적 성격
2) 내면적 이유- 숭유억불의 사회적 상황
2. 텍스트 간 비교
1) 월인천강지곡의 석보상절 수용 양상
2) 월인천강지곡과 월인석보
3. 월인천강지곡의 특징
1) 형식적 특징
2) 내용 구조적 특징
3) 표기적 특징- 월인석보와 월인천강지곡
Ⅲ. conclusion(결론)
1) 표면적 이유- 소헌왕후를 추모하는 기복적 성격
‘석보상절 序’와 ‘월인석보 序’를 보면 월인천강지곡의 제작 동기와 경위가 나타나 있다 이 기록들과, 여래의 능력을 찬미하거나 공덕을 노래함으로써 기복적 효능를 기대하는 장들을 통해 ‘월인천강지곡’의 제작이 직접적으로는 세종의 妃인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함에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동일은‘용비어천가는 널리 펴내어 국가적 이념을 굳히는 데 소용되었다면,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나 왕실 가족의 위안을 얻는 데 필요한 것이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