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사이버 공간과 정신건강론 (가상공간의 이해와 중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9:20
본문
Download : 사이버 공간과 정신건강론 (가상공간의.hwp
처음 키보드를 이용 주로 다음 창으로 넘기는 것에서, 이제는 마우스 클릭을 이용, 다음 창을 열고, 도스체제의 운영체제에서 윈도우즈 xp 운영체제로…, 통신회사 마다 구성된 동호회에서 웹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커뮤니티로….
사이버 공간과 정신건강론 (가상공간의 이해와 중독)
1. 들어가는 말
처음 통신을 스타트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이텔이나 천리안, 그리고 코넷에 가입하여 PC 통신을 스타트하였다. 그동안 인터넷을 사용하는 스킬의 변화는 통신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주로 쫓아 나왔다.
사이버 공간과 정신건강론 (가상공간의 이해와 중독) - 목 차 - 1) 들어가는 말 2) 익명의 디시인사이드와 실명의 싸이월드 3) 그들 속의 폐인 문화 4) 가상공간 속의 또 다른 인격 5) 맺음말 1. 들어가는 말 지금의 인터넷 환경에 비하면 참으로 격세지감이지만, 내가 통신이라는 것을 처음 시작한 지가 올해로 벌써 12년째인가, 13년째…. 처음 ‘이야기’라는 통신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하이텔에서 텍스트 타입의 N(next), B(back)의 첫 글자를 치면서 다음 페이지, 다음 메뉴, 다음 화면 이런 식으로 통신을 시작한 지가 벌써 13년째로 접어 들었다. 처음 키보드를 이용 주로 다음 창으로 넘기는 것에서, 이제는 마우스 클릭을 이용, 다음 창을 열고, 도스체제의 운영체제에서 윈도우즈 xp 운영체제로…, 통신회사 마다 구성된 동호회에서 웹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커뮤니티로….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커뮤니티가 시작된 건 언제일까? 개인용 컴퓨터(PC)의 대중화에 이어 인터넷이 보급되기 시작하던 1980년대 후반에 케텔(KETEL, 하이텔의 전신)과 천리안 같은 PC 통신망에서 인터넷 커뮤니티가 처음 만들어졌다. 그나마 당시의 PC 통신은 지금의 www 체제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좁은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통신회사의 자료나 컨텐츠들은 다른 통신매체들과 공유할 수 없는 폐쇄성의 범주였다.
지금의 인터넷 環境(환경)에 비하면 참으로 격세지감이지만, 내가 통신이라는 것을 처음 스타트한 지가 올해로 벌써 12년째인가, 13년째…. 처음 ‘이야기’라는 통신 에뮬레이터 호로그램을 통해, 하이텔에서 텍스트 타입의 N(next), B(back)의 첫 글자를 치면서 다음 페이지, 다음 메뉴, 다음 화면 이런 식으로 통신을 스타트한 지가 벌써 13년째로 접어 들었다.
5) 맺음말
3) 그들 속의 폐인 文化
3) 그들 속의 폐인 文化(문화)
1. 들어가는 말
처음 통신을 처음 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이텔이나 천리안, 그리고 코넷에 가입하여 PC 통신을 처음 하였다. 처음 통신을 시작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이텔이나 천리안, 그리고 코넷에 가입하여 PC 통신을 시작하였다. 이후 유니텔, 나우누리, 넷츠고 등이 나오면서 도스 스타일의 텍스트 창이 아닌, 윈도우즈 concept(개념)의 쉬운 클릭, 회원간 주고받을 수 있는 실시간 메시지 창이 등장하기 스타트하였으며, 각 회원마다 신청을 하면 인터넷 이메일용 아이디를 주기도 하였다. 이후 유니텔, 나우누리, 넷츠고 등이 나오면서 도스 스타일의 텍스트 창이 아닌, 윈도우즈 개념의 쉬운 클릭, 회원간 주고받을 수 있는 실시간 메시지 창이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각 회원마다 신청을 하면 인터넷 이메일용 아이디를 주기도 하였다.
그동안 Internet을 사용하는 스킬의 變化(변화)는 통신environment(환경) 의 급격한 變化(변화)를 주로 쫓아 나왔다.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한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커뮤니티의 주제는 주로 컴퓨터와 인터넷, 호로그램에 관한 것이었고 ??BBS(사설 전자게시판)‘를 중심으로 동호회가 꾸려졌다.
그동안 인터넷을 사용하는 스킬의 alteration(변화) 는 통신環境(환경)의 급격한 alteration(변화) 를 주로 쫓아 나왔다. 그나마 당시의 PC 통신은 지금의 www 체제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좁은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통신회사의 資料나 컨텐츠들은 다른 통신매체들과 공유할 수 없는 폐쇄성의 범주였다.
사이버 공간과 정신건강론 (가상공간의 이해와 중독)
레포트 > 기타
2) 익명의 디시인사이드와 실명의 싸이월드
5) 맺음말
2) 익명의 디시인사이드와 실명의 싸이월드
Download : 사이버 공간과 정신건강론 (가상공간의.hwp( 85 )
사이버 공간과 정신건강론 (가상공간의 이해와 중독)
1) 들어가는 말
4) 가상공간 속의 또 다른 인격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커뮤니티가 스타트된 건 언제일까? 개인용 컴퓨터(PC)의 대중화에 이어 인터넷이 보급되기 스타트하던 1980년대 후반에 케텔(KETEL, 하이텔의 전신)과 천리안 같은 PC 통신망에서 인터넷 커뮤니티가 처음 만들어졌다. 컴퓨터로 Internet에 접속한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커뮤니티의 주제는 주로 컴퓨터와 Internet, program에 관한 것이었고 ??BBS(사설 전자게시판)‘를 중심으로 동호회가 꾸려졌다. 처음 키보드를 이용 주로 다음 창으로 넘기는 것에서, 이제는 마우스 클릭을 이용, 다음 창을 열고, 도스체제의 운영체제에서 윈도우즈 xp 운영체제로…, 통신회사 마다 구성된 동호회에서 웹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커뮤니티로….
순서
설명
다. 그나마 당시의 PC 통신은 지금의 www 체제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좁은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통신회사의 data(資料)나 컨텐츠들은 다른 통신매체들과 공유할 수 없는 폐쇄성의 범주였다.
- 목 차 -
1) 들어가는 말
- 목 차 -





4) 가상공간 속의 또 다른 인격
지금의 Internet environment(환경) 에 비하면 참으로 격세지감이지만, 내가 통신이라는 것을 처음 처음 한 지가 올해로 벌써 12년째인가, 13년째…. 처음 ‘이야기’라는 통신 에뮬레이터 program을 통해, 하이텔에서 텍스트 타입의 N(next), B(back)의 첫 글자를 치면서 다음 페이지, 다음 메뉴, 다음 화면 이런 식으로 통신을 처음 한 지가 벌써 13년째로 접어 들었다. 이후 유니텔, 나우누리, 넷츠고 등이 나오면서 도스 스타일의 텍스트 창이 아닌, 윈도우즈 개념의 쉬운 클릭, 회원간 주고받을 수 있는 실시간 메시지 창이 등장하기 처음 하였으며, 각 회원마다 신청을 하면 Internet 이메일용 아이디를 주기도 하였다.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한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커뮤니티의 주제는 주로 컴퓨터와 인터넷,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었고 ??BBS(사설 전자게시판)‘를 중심으로 동호회가 꾸려졌다. 사이버 공간과 정신건강론 (가상공간의 이해와 중독)
우리나라에서 Internet 커뮤니티가 처음 된 건 언제일까? 개인용 컴퓨터(PC)의 대중화에 이어 Internet이 보급되기 처음 하던 1980년대 후반에 케텔(KETEL, 하이텔의 전신)과 천리안 같은 PC 통신망에서 Internet 커뮤니티가 처음 만들어졌다.